어린이날자료1:(첨부)어린이날의역사적의미-제1회어린이날주간을맞이하여(이재철,<아동문학평론>116호,아동문학평론사,2005,18~27쪽)주요내용목차 1.<어린이날>의역사적의미형성 2.<어린이날>의사상적배경 3.<어린이헌장>의의미와개정과정 1)최초의<대한민국어린이헌장>제정 2)<어린이헌장>의의미와개정과정 3)<어린이헌장>정신에서본<어린이날(주간)>해제:이글은우리나라어린이날의역사적배경을동학의인내천사상에두고'어린이'의의미형성과'어린이날'의사적형성과정을다루고있다. 현재의어린이날회수는1923년5월1일을기점으로계산된회수이다. 이글에서이재철은최초의어린이날은1922년5월1일천도교소년회에의해<어린이의날>기념행사를대대적으로전개하였기에,1922년부터기산되어야한다고주장하고있다. 무엇보다도이글은2004년여름정부차원에서보건복지부가아동복지법을개정하여,"5월1일부터5월7일까지'어린이날주간'으로제정한경위를자세히밝혀주고있다. 특히"어린이날주간"이라고어린이날의주간이라는점을선명히하여명명한것이주목을끌고있다.고이재철선생은정부가어린이날주간을설정한것에대해"어린이운동에있어서진일보한현명한조치"라고높이평가하고있다. 오늘날1923년5월1일을기준으로추산해온대한민국어린이날회차는재검토가필요하다.세월이흐르면서역사적사실이묻혀일제의탄압으로중지되었던<1938년~1945년까지8회차>까지모두포함해버렸기때문이다. 회수를높인다고더역사가깊어지고전통있는어린이날이되는것은아니다.자라나는어린이들에게우리어린이날의탄생,성장,탄압,중단,그리고해방후다시되찾기까지의역사를바르게전해줄필요가있다.그럴때더욱우리어린이날은자랑스러워지는것이다. 해방직후거행된1946년어린이날때는이8회차를포함하지않고,1922년~1937년(제16회)를이어<제17회>로어린이날을기념했으니, 참정직한어린이날기념행사였다. 우리어린이날이중단된8년동안일제는<5월5일아동애호데이>를식민지조선에시행했다.따라서현재의어린이날회차에는일본이제정하여실시한아동애호데이까지모두포함되게되는웃지못할모순이발생한다. 이러한문제를최소한이나마극복하기위해 어린이날제정100주년을맞이한 2022년부터사회에서는 "어린이날주년기념"으로조금씩바꿔나가고있다.(장정희)